본문 바로가기
  • 현대정치철학연구회

전체 글219

(19) 일본은 국가의 책임을 은폐…한국은 고통의 기억을 삭제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9152141005&code=960100#csidxe1860712927e514baff08e00d673f0a [기억전쟁, 미래가 된 과거] (19) 일본은 국가의 책임을 은폐…한국은 고통의 기억을 삭제 허윤 | 부경대 국문과 교수 ‘위안’ 문화의 기억 지우기 오키나와의 ‘히메유리’ 위령비 무고한 소녀들의 죽음을 통해 전쟁의 무서움을 기억하지만 국가에 대한 책임 논의는 부재 히메유리의 희생을 상찬하면서 미군 위안부 여성들은 비난해 일본 식민지 정복 전쟁의 결과인 패전과 미군 주둔의 책임을 회피 1974년 오키나와에서 살고 있던 배봉기는 영주권을 신청하기 위해 조선인 일본군 ‘위안부’임을 밝.. 2020. 9. 15.
<5> 먹고 살기 위해 일본 갔던 제주도민, '빨갱이' 사냥감이었다 원문 보기 :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090317120003220 먹고 살기 위해 일본 갔던 제주도민, '빨갱이' 사냥감이었다 손호철의 발자국 제주 '수상한 집' 편집자주 진보 정치학자 손호철 서강대 명예교수가 대한민국 곳곳을 다니며 역사적 장소와 현재적 의미를 찾아보는 ‘한국근대현대사 기행’을 매주 화요일 한국일보에 연재한다. ‘수상한 집‘. 내가 찾아가는 게스트하우스는 이름부터가 수상한 ‘수상한 집’이다. ‘수상한 집’이라는 이름에 한번 놀란 뒤, 이층의 근사한 게스트하우스에 도착해 문을 열고 들어가면, 우리는 또 한 번 놀라게 된다. 멋있는 현대식 집안에 보급형 서민주택이 떡하니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집속에 집’이라니? 어디에서도 보기 어려운 진풍경이다.. 2020. 9. 12.
<4> 제주 '숲의 터널' 뒤엔 박정희 강제노역의 역사 서려 있다 원문 보기 :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082816440002829 제주 '숲의 터널' 뒤엔 박정희 강제노역의 역사 서려 있다 손호철의 발자국 제주 5ㆍ16 도로 편집자주 진보 정치학자 손호철 서강대 명예교수가 대한민국 곳곳을 다니며 역사적 장소와 현재적 의미를 찾아보는 ‘한국근대현대사 기행’을 매주 화요일 한국일보에 연재한다. “세상에 우리나라에 이렇게 아름다운 도로가 있다니!” 대학에 입학한 1970년 여름방학, 처음으로 제주도를 여행했다. 제주를 출발해 5ㆍ16도로를 따라 서귀포로 달리다 보면 나타나는 ‘숲의 터널’, 즉 양 옆의 나무들이 위로 이어져 터널을 달리는 느낌을 주는 숲의 터널을 지나며 나는 감탄했다. 이로부터 50년이 지났지만, 숲의 터널이 한국에서.. 2020. 9. 12.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에 대하여 - 질베르 시몽동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960720.html#csidxd5056a720ad8fb097669eb0be34cd88 하늘과 땅과 인간과 기계들의 우정 고향에 천생 농사꾼인 동네 할아버지가 계셨다. 특이하게도 집 마루에는 십수 년 사용했을 법한 금성 라디오가 지직거리고, 마당에는 경운기 엔진이 트레일러도 없이 덩그러니 자리 잡고 있었다. 하루는 나를 붙잡고, 라디오 어쩌고저쩌고하다, 10마력 가까이 되는 엔진 저놈이 얼마나 일을 잘하는지 대견스러워도 하고, 쇳가루 둥둥 뜬 폐유를 준 기억에 자식처럼 안타까워하기도 했다. 기술과 인간의 우정을 상상한 프랑스 철학자 시몽동이 보았다면 아마 폐선 같은 저 엔진을 쓰다듬으며 할아버지와 유쾌한 방담을 나누지 않았.. 2020. 9. 12.
(18) 태국 초유의 왕실 공개 비판…‘입헌정치’ 대중운동 시작한 청년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9012215005&code=960100#csidxc15abbab386707bb9a26be87073dec6 [기억전쟁, 미래가 된 과거] (18) 태국 초유의 왕실 공개 비판…‘입헌정치’ 대중운동 시작한 청년들 서지원 | 창원대 국제관계학과 교수 되살아난 태국 입헌혁명 인민당, 1932년 왕정 타도에도 엘리트집단이라 대중 기반 약해 선거민주주의 시절도 인기 없어 사남루엉은 방콕 구도심 왕궁 맞은편의 광장이다. 원래는 왕실의 화장터이지만 평소에는 공원처럼 활용되며 왕실이나 정부, 민간의 행사가 열리기도 한다. 1940년 이래 이 광장의 한쪽 길가 바닥에는 지름 30㎝가량의 맨홀 뚜껑 같은.. 2020. 9. 12.
(17) 진실 호도 ‘피해자 코스프레’ 우려…법보다 강한 무기는 문화적 제재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8182132005&code=960100#csidxeafeb9cc915de0a9b88b5ec814f1c36 [기억전쟁, 미래가 된 과거] (17) 진실 호도 ‘피해자 코스프레’ 우려…법보다 강한 무기는 문화적 제재 이소영 | 제주대 사회교육과 교수 ‘역사부정죄’ 입법 역사왜곡처벌법이 입법될 경우 그 속성을 역이용하는 이들에겐 홀로코스트 부정자 ‘어빙’처럼 이겨도 이기고 져도 이기는 싸움 지난해 초 국회의원 3인의 ‘5·18망언’이 사회적 공분을 산 바 있다. 이들은 5·18에 북한군이 개입했다는 허위주장을 펼치고 ‘유공자라는 괴물집단이 세금을 축낸다’는 희생자·유가족 비하 발언을 공공연.. 2020. 9. 12.
<3> “죄 지을지 모르니 미리 죽인다!”... 박근혜의 블랙리스트, '현대판 보도연맹' 원문 보기 :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082409220003474 손호철의 발자국 제주 백조일손(百祖一孫) 편집자주 - 진보 정치학자 손호철 서강대 명예교수가 대한민국 곳곳을 다니며 역사적 장소와 현재적 의미를 찾아보는 ‘한국근대현대사 기행’을 매주 화요일 한국일보에 연재한다. “죄 지을지 모르니 미리 죽인다!”... 박근혜의 블랙리스트, '현대판 보도연맹' 손호철 서강대 명예교수 '마이너리티 리포트'. 톰 크루즈가 주연한 영화로 조지 오웰의 명작인 '1984년'처럼 개인의 삶을 통제하는 미래사회를 비판적으로 그린 작품이다. 범죄를 저지르지는 않았지만 예측 프로그램을 통해 앞으로 일으킬 가능성이 큰 사람들을 골라내 제거해 범죄를 사전에 예방해 ‘안전사.. 2020. 8. 25.
<2> 서북 청년단의 광기는 끝났는가 원문 보기 :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081618280003909 손호철의 발자국 제주 4ㆍ3 항쟁, 세계에서 가장 큰 행불자 묘역 편집자주 - 진보 정치학자 손호철 서강대 명예교수가 대한민국 곳곳을 다니며 역사적 장소와 현재적 의미를 찾아보는 ‘한국근대현대사 기행’을 매주 화요일 한국일보에 연재한다. 코로나19시대 '의미있는 여행'의 안내자가 되고자 한다. 서북 청년단의 광기는 끝났는가 손호철 서강대 명예교수 “아니 이게 도대체 몇 개야?” 제주 4ㆍ3 평화공원을 가다가 지난번 왔을 때 못 봤던, ‘4ㆍ3 행방불명자 묘지’라는 팻말을 보고 산으로 차를 돌렸다. 별다른 안내판이 없어 묘역을 간신히 찾을 수 있었다. 그 곳에 들어서자 끝없이 이어진 묘비.. 2020. 8. 25.
<1> 종교가 권세를 등에 업었을 때의 비극 ... '이재수의 난' 원문 보기: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081009110005722 [손호철의 발자국] 제주 모슬포항에서 만난 '신축민란' * 편집자주 - 진보 정치학자 손호철 서강대 명예교수가 대한민국 곳곳을 다니며 역사적 장소와 현재적 의미를 찾아보는 ‘한국근대현대사 기행’을 매주 화요일 한국일보에 연재한다. 코로나19시대 '의미있는 여행'의 안내자가 되고자 한다. 종교가 권세를 등에 업었을 때의 비극 ... '이재수의 난' 손호철 서강대 명예교수 “여아대(如我待).” 이 증표를 가진 사람을 “나를 대하듯 하라.” 고종이 병인양요(프랑스함대가 천주교도학살 탄압에 대항해 쳐들어온 사건)에 대한 보상으로 프랑스 신부들에게 줬다는 증표다. 이는 조선조 말 주권을 잃어버린 .. 2020. 8.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