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현대정치철학연구회

전체 글219

[서평] 마르크스라는 유령의 귀환 마르크스라는 유령의 귀환 『마르크스의 귀환』(제이슨 바커 지음, 이지원 옮김, 경희대학교출판부, 2020) 서평 강길모 (현대정치철학연구회) 환영들에 대한 이러한 적대감, 때로는 웃음을 터뜨림으로써 공포감에 대해 자신을 방어하곤 하는, 이러한 공포에 질린 적대감은 아마도 마르크스가 그의 적수들과 항상 공유했던 게 될 것이다. 그는 또한 환영들 및 살아 있지도 죽어 있지도 않은 모든 것, 곧 결코 나타나는 것도 사라지는 것도 아니고, 현상도 그 반대도 아닌 어떤 허깨비/출현의 재출현을 푸닥거리하려고 했던 게 될 것이다. (....) 그리고 이는 오늘, 아마 내일도, 우리의 문제가 될 것이다. - 데리다 『마르크스의 유령들』 중 데리다는 90년대 초, 동구권 붕괴 직후 『마르크스의 유령들』에서 마르크스가 유.. 2020. 8. 18.
(16) 광장 곳곳에 숨쉬는 장제스, 죽어서도 작동하는 불멸의 권력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8042123005&code=960100#csidx9201bc88d6c532a8a0c01e2b2de9d6f [기억전쟁, 미래가 된 과거] (16) 광장 곳곳에 숨쉬는 장제스, 죽어서도 작동하는 불멸의 권력 정헌주 |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대만의 중정기념당 타이베이 도심 광활한 부지 위 중정기념당의 청동 동상이 지그시 대중을 내려다본다 2019년 1월부터 8월까지 연구년 동안 대만 타이베이에서 지냈다. 머물던 숙소에서 연구공간이 있던 국가도서관까지 가기 위해서는 중정기념당을 가로질러야 했다. 타이베이시 중정구에 위치한 국립중정기념당(國立中正紀念堂)은 1950년부터 1975년까지 중화민.. 2020. 8. 12.
[학술회의] ‘위안부’ 피해자의 말, 한국 사회는 응답할 수 있는가 출처: http://cgsi.ac/bbs/board.php?bo_table=kor_notice&wr_id=249 서강대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는 2020년 8월 27일(목) 오후 1시-6시 라는 제목의 온라인 컨퍼런스를 개최합니다. http://bitly.kr/F78VYKCKEY3 위 주소로 사전 신청을 해주신 분들에게 ZOOM 접속 주소를 컨퍼런스 당일 발송해드릴 예정입니다. 그 어느 때보다 청자 공동체 만들기의 긴요함을 마주하고 있는 시점에서,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일시: 2020년 08월 27일 목요일 13:00-18:00 장소: CGSI ZOOM 회의실 주최: 서강대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후원: 한국연구재단 문의: cgsi@sogang.ac.kr / 02) 70.. 2020. 8. 7.
[신간] 김정한, «비혁명의 시대: 1991년 5월 이후 사회운동과 정치철학» (빨간소금) “나는 왜 1991년 5월을 기억하고, 그 이후를 사유하는가?” 혁명이 사라진 시대, 흩어진 사람들에 대한 단정한 성찰 1980년대를 ‘5·18 광주항쟁’과 ‘6월 항쟁’으로만 기억하는 이들에게 1991년 5월의 일들은 역사의 먼지와 같은 사건일지 모른다. 그러나 명지대생 강경대의 죽음에서 촉발된 ‘1991년 5월 투쟁’은 여전히 정치권력을 쥐고 있는 5·18의 학살자들과 5공화국 독재의 잔재를 몰아내려는 ‘제2의 6월 항쟁’이었다. 불과 두 달이 채 안 되는 사이에 학생, 노동자, 빈민 11명이 연이어 분신하고 전국적으로 6월 항쟁 이후 최대 규모의 거리 시위가 벌어졌다. 하지만 1980년대 급진적 민중운동의 마지막 필사적인 저항과도 같았던 1991년 5월 투쟁은 갑자기 소멸했다. 얄궂게도 1991년 .. 2020. 8. 7.
왕보다 더 자유로운 삶 - 에픽테토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956833.html?fbclid=IwAR0eWP3-yjdZxPsxmnnmPSMSNAAWnDXSeqi6EIuJNx5Cr0eecmD-pq-w9h4#csidx1c25af9445d78619d264320cdb4678a 자유인, 자기로 되돌아갈 줄 아는 자 후기 스토아 철학을 주도한 세 명의 철학자는 세네카, 에픽테토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이다. 세네카는 귀족,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황제, 그리고 에픽테토스는 다리에 장애가 있는 노예였다. 완전히 다른 삶을 살았던 세 사람이 같은 철학으로 묶이는 것은 징후적이다. 스토아 철학이 신분을 넘어 공유될 정도로 급진적이었음을 뜻한다. 특히 에픽테토스는 밑바닥에서 솟아난 자기배려의 철학자.. 2020. 8. 7.
자크 데리다 «용서하다» «거짓말의 역사» 읽기 자크 데리다 «용서하다», «거짓말의 역사» 읽기 현정철 攻防 세미나. 증인/증언. 아홉 번째 책 읽기 ◇ 시간 : 매주 금요일 오후 3시부터 ◇ 시작 : 8월 14일 금요일 ◇ 회비 : 월 4회 기준 2만 원. 카카오뱅크 3333-11-6041114. 예금주 황재민 ◇ 신청 : forms.gle/uHKAtbFEYtAYFK2A9 ◇ 문의 : 김정한. multitude2010@gmail.com 2020. 8. 3.
(15) 주거권 투쟁 ‘알파벳 시티’…주거난 현실이 소환한 ‘저항의 기억’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7212027005&code=940100#csidx74582c574f9d571a5ed1a1abe809b64 [기억전쟁, 미래가 된 과거] (15) 주거권 투쟁 ‘알파벳 시티’…주거난 현실이 소환한 ‘저항의 기억’ 황은주 | 서강대 영문학과 교수 뉴욕의 젠트리피케이션 뉴욕 맨해튼의 남동쪽, 이스트 빌리지 안에 ‘알파벳 시티’라 부르는 동네가 있다. 19세기부터 노동운동과 집회, 폭동의 중심이 된 톰킨스 광장(Tomkins Square) 공원을 끼고 애비뉴 A부터 애비뉴 D까지, 그리고 하우스턴가에서 14번가 사이에 위치한 2㎢ 남짓한 곳이다. 1980년대 젠트리피케이션이 시작되면서 노숙인.. 2020. 7. 27.
통치성, 생명정치, 인종주의 세미나 1회차 안내 및 자료다운 드디어 세미나 첫 모임이 다가왔습니다. 강연이 아니라 세미나입니다. 그러므로 텍스트를 읽고 이러저러한 얘기를 할 것입니다. 1차 :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11강(마지막 강의) ; 로베르토 에스포지토, 『정치적인 것의 항들』 중 8장 「나치즘과 우리」 * 푸코의 마지막 강의는 직접 구입해서 읽어오시면 되겠습니다. * 나머지 텍스트들에 대해 말씀드립니다. 원래 계획은 미번역본을 첫 회 세미나 때 제공하려고 했습니다. 그렇지만 마지막 교정 작업에 시간이 걸려서 그렇게 되지 못할 것 같습니다. 하여 우선 1회차 때 참고로 보시면 좋겠다고 생각한 에스포지토의 글을 첨부합니다. 병기된 단어들은 최종 배포본에서는 삭제할 예정이라는 점도 양해 부탁드립니다. * 나머지 텍스트의 경우 - 순차적으로 배포할.. 2020. 7. 13.
기록시스템 1800·1900 - 프리드리히 키틀러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953083.html#csidx88509752587638eb16d1bbdbf6c30d2 글쓰기는 밤의 내전이자 놀이이다 강민혁. 저자, 철학자 어린 시절 할아버지 손에 이끌려 새벽기도를 가곤 했다. 더 큰 고역은 온갖 기도문을 암송하는 것이다. ‘십자가의 길’은 어찌나 길던지 지금도 진땀이 다 난다. 성경을 필사해 읽고, 일기에 감상을 쓰기도 했다. 성경과 기도의 문자들이 우박처럼 꽂혔다. 그런데 어찌 된 일인지 그런 고역이 반복될수록 마치 예수님이 내 손을 잡아 이끄시는 것 같고, 마음은 영롱해졌다. 반복해 읽고 쓰는 일이 숭고한 의미를 밝히고 있었다. 아마 독일의 매체철학자 키틀러라면 이를 두고 ‘1800년대식’이라고 .. 2020. 7. 11.